Tooto 브리핑 제작기: ‘내 것처럼’ 만든 과제가 나를 만든다
·
🎨 Creative Thinking
🧭 도입: 나와 아이디어 사이의 거리 Tooto는 처음부터 과제를 위해 만든 아이디어는 아니었다.3월 말부터 4월 초, 코테이토에서 프로젝트 주제를 정할 때 내가 낸 아이디어였다.나는 프론트엔드를 맡고 있었지만, 기획 파트와 함께 아이디어 디벨롭 회의에 참여하며 서비스의 구조와 기능을 구체화해 나갔다. 그렇게 MVP까지 스케치되면서, 처음엔 의무감에 제출했던 아이디어였는데 점점 애정이 생겼다.최종적으로는 다른 좋은 아이디어가 선정됐지만, 머릿속에서 Tooto가 계속 맴돌았다.“이거, 나 혼자라도 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 순간, 이건 더 이상 ‘그냥 낸 아이디어’가 아니었다. 그래서 기획과 디자인을 맡고 있는 멋쟁이사자처럼 과제에서 ‘아이디어 브리핑’을 주제로 정해야 했을 때,망설임 없이 Tooto를..
React Hook 정복하기: useState와 useEffect의 원리부터 실전까지
·
📚Dev Log/Study
1️⃣ React Hook의 내부 동작 원리 – 구조와 렌더링 사이클 Fiber와 Hook의 구조Fiber란?React의 내부 렌더링 엔진에서 사용하는 자료 구조로, 컴포넌트 트리를 표현함각 Fiber Node는 컴포넌트의 상태, props, Hook 정보 등을 담고 있음Hook 연결 구조각 컴포넌트는 고유한 Fiber에 대응되며, Hook은 해당 Fiber 내에서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관리됨interface Hook { memorizedState: any; // 현재 상태 값 baseState: any; // 기준 상태 baseQueue: Update; // 업데이트 큐 next: Hook | null; // 다음 H..
코드 리뷰를 처음 해보며, 그리고 그 중요성을 느끼기까지
·
🧭 Dev Journey
🌱 운영진이 되고, 코드 리뷰를 맡게 되다올해 나는 학회 운영진을 맡게 되면서 CSS 강의를 진행하고, 과제를 내고, 구성원들의 코드를 리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문제는, 내가 코드 리뷰를 한 번도 ‘제대로’ 해본 적이 없다는 것이었다. 리뷰가 필요하다는 건 알겠지만, 막상 내가 직접 하게 될 줄은 몰랐다. 그래서 처음에는 코드 리뷰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부터 시작했다. 운영진의 올해 목표 중 하나는 팀 프로젝트를 더욱 활발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자연스럽게 ‘코드 리뷰 문화 정착’이라는 키워드가 떠올랐고, 나는 ‘코드 리뷰의 중요성과 하는 법’이라는 주제로 DevTalk 발표를 준비하게 되었다. ❓ “코드 리뷰는 잘하는 사람들만 하는 것?” 돌이켜보면, 작년의 나는 코드 리뷰라는 것에 전..
어떠한 개발자가 될 것인가
·
🧭 Dev Journey
🧩 문제를 풀어가는 쾌감, 그리고 개발 어릴 때부터 나는 수학을 좋아했다. 바로 풀리지 않더라도, 풀릴 때까지 붙잡고 고민하는 그 과정 자체가 재미있었다. 풀리지 않으면 답답했지만, 결국엔 스스로 풀어냈을 때 느껴지는 뿌듯함과 짜릿한 쾌감은 다른 어떤 과목에서도 느낄 수 없는 것이었다. 영어 숙제가 있어도, 국어 숙제가 있어도 늘 수학부터 손에 잡았던 것도 그래서였을 것이다. 그런 애정을 준 만큼 수학 성적도 좋은 편이었고, 자연스럽게 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대학에서의 수학은 내가 좋아하던 방식의 ‘문제 푸는 수학’과는 조금 달랐다. 그럼에도 한 학기에 한 과목쯤은 내가 좋아하던 스타일의 수학 과목이 있어서, 혹시나 맞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으로 쉽게 발을 빼지 못했다. 그렇게 계속 미련을 두던 중, ..